목록전체보기 (70)
따..딱히 공부하려고 포스팅하는 건 아니니까..!
아무리 포맷을 Truecolor으로 하고 Max Size를 올려도 이미지가 깨질 때가 있다이때는 Generate Mip Maps의 체크를 해제하면 용량도 줄고 이미지도 깨지지 않는다
페이스북을 연동하고나서 적용했을때 이런 에러가 날때가 있다. facebook 개발자 페이지에 등록되어있는 해쉬키와 현재 내 앱의 해쉬키가 다르기 때문에 나는 에러이다. 어째서 이런 에러가 나는가 하면....나의 앱에서 리턴하는 해쉬키 값이 잘못 리턴됐기 때문이라고밖에 설명을 못하겠다... ㅠㅠ 해결방법은 간단하다아예 위 에러메시지에 진짜 앱 해쉬키값이 써있다. Invalid key hash. The key hash [진짜 앱 해쉬키값] does not.... 저기서 실제 앱 해쉬키값을 개발자 사이트에 기입해주면 마법과 같이 페이스북 연동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역전재판4 혹은 역전검사2의 지문 채취때문에 세이브파일을 구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는 지문 채취할때 지문을 찾지 못해서 세이브파일을 구했습니다 ㅠㅠ) 위 사진은 세이브파일 적용 전 모습입니다아무것도 없습니다... ㅠㅠ 이제 세이브파일을 적용해볼 텐데, 아주아주 쉽습니다 1. 드라스틱 폴더로 갑니다 2. 백업 폴더가 있습니다 (참고로 savestates 폴더는 드라스틱의 세이브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입니다게임의 세이브 파일과 드라스틱의 세이브 파일의 개념은 조금 다르니 그냥 참고합시다) 3. 백업폴더에 dsv파일(세이브파일)을 넣습니다 (※주의 : 게임 파일명과 동일해야 합니다) 적용하면 위와 같이 세이브 내용들이 나타납니다한번 클리어한 내용들이기 때문에 스크립트 속도도 빨라집니다 ㅎㅎ ※ 참고로 ..
git에서 commit을 하고 push를 하려고 하는데 위와 같은 오류가 날 때가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github의 용량 제한은 100메가인데 커밋한 프로젝트에 100메가가 넘는 파일이 있어서 오류가 생긴 것이다. git에서는 해결방법을 제시해준다.https://git-lfs.github.com에 방문하여 대용량 파일 저장소 프로그램을 다운을 받는 것인데 나에게는 그다지 효과가 없었다.그래서 내 솔루션에 있는 sdf들을 전부 삭제하고 다시 push하는 것이 낫겠다 싶어 그렇게 했더니 성공했다. 비주얼 솔루션에서 sdf는 그냥 로드 정보같은 것이므로 삭제해도 상관이 없다.만약 git-lfs로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sdf파일을 전부 삭제하고 push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http://bwoh.tistory.com/79 CUDA 7.0 버전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
svn을 이용한 방법http://namocom.tistory.com/218 git을 이용한 방법https://code.google.com/p/v8-wiki/wiki/BuildingWithGYP
모듈- 기능 단위- 각 기능별로 분할한 것- 기능적 특성을 가진 부품 집합-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된 구조 모듈화- 각 기능별로 분할하는 일 모듈성- 구성 요소 변경이 용이한 정도- 모듈로 서로 분리되어 작성되는 성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추가/변경할 때, 전체에 영향 없이 일부만 바꿀 수 있도록 설계됨 즉, 클래스, 함수단위로 기능을 나누는 것으로 생각하면 됨 출처http://zetawiki.com/wiki/%EB%AA%A8%EB%93%88,_%EB%AA%A8%EB%93%88%ED%99%94,_%EB%AA%A8%EB%93%88%EC%84%B1
아시다시피 아스키코드에서는 한글 문자열을 지원하지 않는다.그렇다면 내가 한글문자열을 입출력하고 판별하고 싶을때에 어떻게 해야할까? 답은 유니코드(Wide Byte Character Set)이다. 유니코드에 대한 설명을 조금 하자면,알파벳은 1바이트지만 다른 문자들은 2바이트인 경우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스키코드에서는 약간의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다른 문자열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유니코드가 만들어졌다. 문자열의 자료형으로는 wchar_t을 사용하고, 사용법은 문자열 앞에 L을 붙이면 된다. 유니코드에서는 wchar_t 자료형을 사용하는것이 더 편리한데 그 이유를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다. wchar_t* str = "zz가나다" 이라고 하자.이 때, 각 배열공간에 들어있는 문자를 살펴보면, str[0] ..
https://bitbucket.org/lezo/ogre_build/downloads 에서 OgreSDK_vc12_v1-9-0.exe을 다운받고2010, 201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비주얼 속성에서 환경설정하면 된다. 자세한 로그는http://www.ogre3d.org/forums/viewtopic.php?t=69274 에서 확인할 수 있다.
public void WriteStringToFile(Dictionary dict, string filename) { string path = PathForDocumentsFile(filename + ".json"); FileStream file = new FileStream(path, FileMode.Create, FileAccess.Write); StreamWriter streamWriter = new StreamWriter(file); // serialize JSONNode serialize = new JSONClass(); foreach (KeyValuePair data in dict) { serialize.Add(data.Key, data.Value); } string str = null; st..